자료실
글쓴이 : 운영자
해문(海文)과 인문(人文)의 관계: 인류세 시대의 바다와 섬 담론
일시: 2025년 8월 22일(금) 09:00~12:30
장소: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해사대학 신관 205호
좌장: 김명진
발표 1. 해양사로 보는 한국사와 세계사 비교 개설(강봉룡 교수)
발표 2. 장보고 2.0모델 해양중심형 국가균형발전 전략(이민원 교수)
발표 3. 장보고 다문화 융합 공동체 모델과 추석 페스티벌(황상석 교수)
발표 4. 우리에게 바다란 무엇인가(이준 교수)
발표 5. 동해안 굿에 수용된 불교의례적 요소발표(서정매 교수)
발표 6. 스틸라이프를 통해 본 해양 문화 공간의 변화와 인문학적 성찰(김예주 교수)
발표 7. 19세기 한국과 미국의 역사 기록에서 해양을 바라보는 시각과 의미(최정아 교수)
발표 8. 글로벌 협력의 상징, 장보고해(궁인창 대표)
발표 9. 신라 청해진 장보고의 대구전투(김명진 교수)
하단 파일로 첨부합니다. 감사합니다.
1.해양사로 보는 한국사와 세계사 비교 개설(강봉룡).pdf : 1.91 M
2.장보고 2.0 모델 해양중심형 국가균형발전 전략(이민원).pdf : 3.29 M
3. 장보고의 다문화융합공동체 모델과 추석 페스티벌(황상석).pdf : 2.23 M
4.우리에게 바다란 무엇인가(이준).pdf : 6.21 M
5. 동해안 굿에 수용된 불교의례적 요소(서정매).pdf : 3.67 M
6.스틸라이프를 통해 본 해양 문화 공간의 변화와 인문학적 성찰(김예주).pdf : 2.95 M
7.19세기 한국과 미국의 역사 기록에서 해양을 버라보는 시각과 의미 (최정아).pdf : 1.98 M
8.글로벌 협력의 상징, 장보고해(궁인창).pdf : 1.84 M
9.신라 청해진 장보고의 대구전투(김명진)2025년.pdf : 1.08 M